▲ 신원철 교수
옛말에 ‘잠이 곧 보약’이라는 말이 있다. 하루 동안 쌓인 피로를 풀고 신체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꼭 필요한 인체의 중요 활동이 수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 국민의 수면 질은 점점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의하면 수면장애(G47)로 진료받은 환자 수는 5년 새 약 13% 증가했다(2012년 257만9,507명 → 2016년 291만8,976명). 수면장애를 방치할 경우 삶의 질 저하는 물론 만성 두통,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등이 증가하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필요하다.
 
수면은 육체적인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건강과도 직결되는 아주 중요한 인체활동이다. 일반적으로 잠드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자주 잠에서 깨는 것만 수면장애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불면증뿐만 아니라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후군 등 다양한 질병이 모두 수면장애에 포함된다.
 
수면장애 중에서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삶의 질을 악화시키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낮 동안 과도한 졸음을 유발하고 정상적인 신체 기능과 업무 효율을 떨어뜨린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란 수면 중에 숨을 쉬지 않는 것을 말한다. 몸 안으로 산소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심혈관질환의 발병 위험이 높아지고 사망에 이를 수도 있어 매우 위험하다. 
 
신원철 강동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국내 한 연구에서 20~40대 근로자 대상으로 수면 시간, 직무스트레스 정도, 우울과 불안 등을 조사한 결과 4시간 이하 수면 그룹이 7시간 수면 그룹에 비해 불안과 우울 유병률이 약 2~4배가 높았다”며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된다면 수면다원검사로 정확한 수면 상태와 증상을 평가하여 최적화된 치료법을 찾아야 한다고”고 말했다.
 
수면다원검사에 따라 수면무호흡 중증도를 나누어 혈액응고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한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중증 수면무호흡환자의 경우 일반인에 비해 혈액응고 시간이 단축되는 경향을 확인했다. 혈액응고 속도가 빠르면 심근경색, 뇌졸중 등 뇌‧심혈관질환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실제 2005년 국제학술지 랜싯(Lancet)에 실린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심혈관질환 발생으로 인한 사망률이 자연발생(대조군)보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가진 사람이 약 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원철 교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주로 잘 때만 혀 근육이 쳐져서 기도를 막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 보다 지속적인 양압치료(CPAP)나 구강내 장치 치료가 더 효과적이다”며 “하지만 환자마다 수면버릇, 상태, 원인 등이 다르므로 개인에게 맞는 치료법을 적용해야 효과적이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