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공약이자 정부 국정운영 100대과제에 선정된 어린이재활병원 건립이 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유는 분명하다. 재활은 병원 건립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운영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통상 의료계 주장이 ‘기-승-전-수가’로 끝난다고 하지만 특히 소아의 경우엔 그 정도가 가장 심하다. 푸르메재단이나 보바스병원도 소아재활을 축소하고 우리나라 최고의 병원으로 꼽히는 서울대병원에서 어린이병원은 적자로 허덕이고 있다.

어린이 재활병원은 접근성이 가장 중요하다. 혼자 있지 못하는 아이의 특성으로 젊은 부모중 한명이나 다른 가족이 옆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입원도 중요하지만 통원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고 그렇다면 병원 인근 환자들에겐 축복이다.

많은 예산을 들여 병원을 짓는다 해도 재활, 교육, 돌봄서비스 등을 계속할 재정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그래서 나온다.

한 재활의학전문의는 재활 수가를 현재보다 50% 이상 인상한다고 하면, 어린이재활병원 운운하기도 전에 의료인들이 먼저 병원을 짓거나 재활병원의 한 부분을 소아재활병동으로 만들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렇게 되면 전국의 재활병원에서 어린이재활이 가능해 ‘재활난민’은 없어진다는 것이다.

올해 재활병원 시범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비록 ‘의료법’이 아닌 ‘장애인법’에 따라 추진되지만 재활의료의 획기적 전환점이 되는 것만은 분명하다.

재활의학계뿐 아니라 국민들도 시범사업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