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아동병원협회(회장 박양동)가 경피용 BCG도 국가무료예방접종사업(NIP)에 채택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또 감연예방 차원서 도입된 ‘병상 간 이격거리 1.5미터 확보 규정’도 소아청소년 환자의 특성을 고려해 비율 수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동병원협회는 18일 자유한국당 이주영의원, 국민의당 김광수·천정배 의원을 입법청원 소개의원으로 이같은 내용의 청원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이 자리에는 2만명이 넘는 회원을 가진 네이버맘카페 ‘애기똥풀’ 및 YMCA 관계자가 배석해 뜻을 같이했다.

협회는 먼저 “우리나라는 결핵의 3대 지표인 발병률, 유병률, 사망률을 비롯한 다제내성 결핵환자의 비율이 OECD 회원국 중 1위며, 다제내성 결핵 신환자의 경우 2016년 852명으로 전년 대비 무려 8.3% 증가했다”고 밝혔따.

이어 “1세 미만 영아는 잠복결핵균에 감염되면 중증 결핵으로 발병할 위험 또한 매우 높기 때문에 결핵 예방접종은 영유아 NIP 중 가장 중요한 근간이며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접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반면 현재 NIP에 단독으로 지정돼 있는 피내용 BCG는 그간 국내에서 잦은 품절과 지속적인 수급 불안이 있어 왔다.

이 때문에 경피용 BCG를 임시 NIP화 하거나 허가자료가 불충분한 피내용 BCG를 임시 관수용(보건소용)으로 수입, 상당수의 부모들에게 혼란과 불만을 야기시켜 일선에서 질타와 항의가 잇따르는 폐단이 발생해왔다.

따라서 지속적이고도 원활한 접종을 위해 경피용 BCG 또한 다른 백신(자궁경부암백신, 폐렴백신, 일본뇌염백신 등등)들처럼 정식 NIP에 병용 채택하는 방안이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청원취지를 분명히 했다.

이번 경피용 BCG 정식 NIP 국회 청원에는 국민 1만 1240명이 뜻을 함께했다.

또한 “홍역을 막기 위해 MMR 2회 접종을 했던 시기가 있었던 만큼, 법정 감염병인 수두의 유병률 감소를 위해 현 1회 무료접종인 수두 예방 접종을 2회 무료접종으로 확대시행 해야 한다”는 청원도 함께 제출했다.

협회는 “질병관리본부 2016년 감염병감시 연보에 따르면 수두보고가 2005년부터 시작된 이후 2016년 5만4060명으로 2015년 4만6330명에 비해 16.7%나 증가했고 이 중 9세 이하가 전체의 79.9%였다”면서, “수두가 격리를 요하는 법정 감염병이지만 1년 내내 수시로 또 전국적으로 발생하므로 NIP 2회 접종 채택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수두 무료접종 2회 확대 시행 관련 국회 청원에는 국민 1만 679명이 서명했다.

‘병상 간 이격거리 1.5미터 확보 규정’에 대해선 영유아에겐 병원 내 감염병 예방 효과가 없다며 소아청소년과 병원 일반병상 의무 확보비율의 하향 조정을 요청했다.

협회는 “병상 간 이격거리 1.5미터 확보 강제 규정은 영유아가 주 치료대상인 소아청소년과 전문 병원에서는 영유아 통제가 현실적으로 어려워 전염 예방에 효과가 거의 없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소아청소년과 병원의 일반병상 의무 확보비율을 하향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아청소년과 병원을 비감염성 환자를 치료하는 병원들과 동일한 잣대로 일괄규제하고 의료서비스의 공급을 시장 기능에만 맡긴다면 산부인과와 소아청소년과는 심각한 수요 감소로 도태돼 시장에서 퇴출될 것이라는게 협회의 지적인 셈이다.

이어 “소아청소년과병원은 총병상 대비 상급병상비율을 확대해야만 환아의 안전과 질높은 치료 환경을 도모하고, 국가적 문제인 저출산 등을 조금이나마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소아청소년과 입원환아 중 90% 이상이 폐렴, 장염, 바이러스 원인균에 의한 고열질환으로 전염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반드시 규정을 개선해야 한다”면서 “소아청소년 전문병원의 경우는 1인실부터 먼저 채워지고 1인실에 자리가 없으면 다인실에 임시 대기 했다가 1인실로 옮겨가는게 일반적인 상황”이라며 현 규정의 맹점을 지적했다.

현재 입원실의 대부분을 공급하는 3차 병원은 병실이 포화상태이고 1인실 공급 부족(일반병상:상급병상=70:30 규제)으로 3차 병원의 1인실은 초고가 병실이 대부분이다.

이에 협회는 “기대에 못 미치는 병상 환경이나 상급병실료로 인해 입원을 포기하고 대기하다가 질병의 악화, 이환기간 연장으로 결국 의료비와 후유장애는 상승하고 회복기는 연장되는 등의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부모님들의 생활수준에 부합하는 상급병상을 공급하는 소아청소년과 병원이 꼭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상급병실 비율 조정 관련 국회 청원에는 국민 1만908명이 함께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