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모두 비만인 경우 영유아 비만률이 부모 모두 비만이 아닌 경우에 비해 약 4.6배 높았고, 또 영유아 비만률은 영유아의 식사 속도가 빠르거나 TV를 2시간 이상 시청하는 경우는 엄마만 비만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5-2016년 일반건강검진과 영유아 건강검진 자료(11만2,879명)를 분석한 결과, 부모 비만과 영유아 비만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혔다.

이번 조사 분석 자료에 따르면 부모 모두 비만인 경우 자녀의 비만율이 14.44%로 가장 높고, 엄마만 비만인 경우 8.32%, 아빠만 비만인 경우 6.63%, 부모 모두 비만이 아닌 경우 3.16%로 나타났다.

즉, 부모 모두 비만인 경우 그렇지 아니한 경우보다 자녀 비만율이 약 4.6배 높게 분석되었다.

또 부모 모두 고도비만인 경우 자녀의 비만율이 26.33%로 가장 높고, 엄마만 고도비만인 경우 15.16%, 아빠만 고도비만인 경우 11.32%, 부모 모두 고도비만이 아닌 경우 5.26%로 나타나, 부모 모두 비만인 경우 그렇지 아니한 경우보다 자녀 비만율이 약 5배 높게 분석되었다.

부모 모두 저체중인 경우 자녀의 비만율이 0%로 가장 낮고, 엄마만 저체중인 경우 1.9%, 아빠만 저체중인 경우 2.4%, 부모 모두 저체중이 아닌 경우 6.5%로 나타났다.

부모 비만 여부에 따른 자녀 영양 상태를 분석한 결과, 자녀의 식사속도가 빠르다고 응답한 비율은 부모 모두 비만일 때 가장 높고(5.96%), 부모 모두 비만이 아닌 경우(3.42%)보다 약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TV 2시간 이상 시청 비율은 엄마만 비만일 때 가장 높았으며(35.19%), 부모 모두 비만이 아닌 경우(26.38%)보다 약 1.3배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부모 모두 비만인 경우의 자녀 비만율은 제주특별자치도(19.26%), 전라남도(17.51%), 대구광역시‧광주광역시(16.8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 대전광역시(11.05%), 전라북도(12.74%), 서울특별시(12.89%)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서울대학교 소아청소년과 문진수 교수는 “소아비만의 원인으로서 가족력은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가족의 유전적인 성향과 식생활 습관이 아이의 비만을 유도하기 때문에 소아비만의 치료는 반드시 가족 치료를 해야 한다” 고 밝혔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비만대책위원회 위원장인 문창진 차의과학대학교 교수는 “이번 건강보험공단의 분석결과는 부모 비만과 영유아 비만과의 상관관계를 보여준 의미 있는 결과다. 양자간의 상관관계가 생물학적 요인에서 비롯된 부분도 없지 않겠으나, 영유아의 식습관과 TV시청시간이 영유아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분명히 알 수 있다”며, 부모의 라이프스타일과 보육방식이 영유아의 식습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된 만큼 이에 대한 각별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