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등 중증환자들의 입원 일수가 줄어들면서 재가 암 환자 10명 중 7명이 영양불량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의 암 환자 등 중증질환 재가 환자, 독거 환자 등은 더 심각한 영양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중증 재가 환자의 영양관리 지원 방안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대한암협회(회장 노동영)는 21일(화)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당 간사 김광수(전북 전주시갑)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중증 재가 환자의 영양 관리 지원 방안’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소화기 계통 암 환자의 2010년 환자 당 평균 입원 일수는 11일이었으나 2016년에는 6.2일로 절반 가량이 감소했다. 줄어든 입원 일수만큼 환자들이 가정에서 체계적인 영양 관리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이날 정책토론회에서 김광수 의원은 “중증 환자들이 입원 시에는 건강보험 요양급여를 통해 50% 지원을 받던 환자용 영양 식품이 퇴원 후에는 온전히 환자의 부담이 되어 취약계층 중증 재가 환자들은 영양 사각지대에 놓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한암협회 노동영 회장은 “암 환자는 수술 후 또는 항암치료 기간에 체력 소모가 급격하고 음식 섭취가 제한돼 전문적인 영양 관리를 받지 못할 경우 면역력 감소와 합병증 발생 위험이 증가해 의학적 치료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며, 암 등 중증 재가 환자들이 성공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영양 불량으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지 않도록 재가 환자의 영양 관리 지원 방안에 대한 실효성 있는 정책과 제도를 조속히 마련할 것을 정부가 촉구했다.

 박민선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소화기 암 수술 후 환자들은 식욕 감퇴,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때 영양이 결핍될 경우 치료 순응도가 감소할 뿐 아니라 수술 후 합병증 위험이 증가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암 예방을 위해서는 적절한 열량 공급이 중요하며 암 수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에는 일반 환자와 달리 음식물 섭취를 1일 5회 이상 규칙적으로 섭취하고 영양제보다는 유동식과 액체와 같은 음식물 형태의 보충식품을 추천한다고 제언했다.

 성미경 숙명여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재가 환자 대상 다양한 영양 중재 연구가 필요하고, 임상에서 열량이나 영양소 섭취량 증가가 필요한 환자들의 경우 가정에서도 적극적인 영양 관리가 지속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명희 성균관의대 교수는 “2010년 국립암센터 보고에 의하면 우리나라 암 환자 10명 중 7명이 영양 불량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암 환자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질병의 악화는 물론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환자들의 퇴원 이후 지속적인 영양 관리 투자로 성공적인 회복을 이끌고 고비용의 치료 효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보건복지부 보험급여과 정통령 과장은 “중증 재가 환자의 건강 보장과 경제적 부담 경감을 위해 제도적 지원 및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한다”며, “퇴원 후에도 환자들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향후 협회와 긴밀하게 논의해 보험급여에 대한 정책적 보완이 필요한 부분은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