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소아청소년기 급성 열성 질환인 가와사끼병에 대한 한국형 진단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이경일 교수는 최근 가와사끼병의 조기 진단 및 적정 치료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소아 류마티스학’ 및 ‘의학(Medicine)’에 잇따라 게재하고 이 같이 지적했다.

주로 5세 이하의 영유아에서 발생하는 가와사끼병은 5일 이상의 발열이 있으면서 양측 안구 충혈, 입술 홍조, 전신적 피부 발진, 손발 부종 및 목 주위 임파선 비대 등이 대표적인 증상이며, 심한 경우 심장 합병증인 거대 관상동맥류로 이어질 수 있다. 이 5가지 증상 중 4가지 이상이 있으면 진단이 되고 3가지 이하인 경우 불완전 가와사끼병으로 진단한다.

가와사끼병은 아직까지 혈액 검사로 진단하는 방법이 없어 임상적 증상으로만 진단을 내리게 되는데, 최근 국내에서 불완전 가와사끼병의 증가와 함께 발열 2~4일 이내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가 대부분으로 임상 증상들이 다 나타나지 않아 조기 진단에 어려움이 있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최근 가와사끼병이 과거에 비해 나타나는 증상들이 경해지고 심장 관상동맥 병변이 나타나는 빈도가 줄면서 조기 진단을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교수는 충남대병원 길홍량 교수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최근 입원한 가와사끼병 환아군(331명, 2010~2014년)이 과거의 환아군(284명, 2000~2004년)에 비해 더 경한 임상적 증상 및 검사실 지표소견을 보였다고 밝혔다.

최근 환아군에서 불안전 가와사끼병이 증가(26.6%→46.2%)하고 심장 관상동맥 병변을 갖는 환아의 비율(23.6%→15.7%)이 낮아진 것이다. 또 염증반응을 나타내는 C-반응단백, 알부민, 혈색소 및 혈소판 수가 더 경미한 값을 보였다.

또 이 교수는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한지환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가와사끼병 회복기 초기에 혈소판 수와 면역글로불린 G(IgG), IgM, 및 IgA 값이 서로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발견했으며, 이 점이 가와사끼병 전신성 염증의 특성 중 하나임을 밝혀냈다.

이 교수는 이번 논문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국내 실정에 맞는 새로운 한국형 진단기준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그 방법의 하나로 입원 시와 입원 다음날 반복 실시한 염증 지표들의 변화 즉 C-반응단백과 호중구의 분획비율의 상승과 함께, 알부민과 혈색소값의 감소가 나타날 경우, 발열 2~4일의 발병 초기에 병원을 방문한 불완전 가와사끼병 환아의 진단에 도움이 되고, 정맥용 면역글로불린 치료로 해열된 후 7~10일에 혈소판증가증(40만 이상) 및 동반 증가된 IgM, IgA을 확인함으로써 가와사끼병을 앓았던 것을 알 수 있는 방법을 소개했다.

가와사끼병의 치료로는 정맥용 면역글로불린이 특효약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질환과 마찬가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빠른 회복과 심장 합병증을 예방하는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 논문의 결과는 가와사끼병 진료에 임하는 임상의사의 조기 진단 및 적정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경일 교수는 가와사끼병의 염증이 평균 발열 6일째 최고점에 이른다는 사실을 비롯, 이 질환의 원인 병원체, 면역병리기전, 검사실 지표에 의한 중증 가와사끼병 환아의 치료지침 등 가와사끼병 관련 논문들을 국제 학술지에 25편 이상 발표했으며 올해 2월부터 대한가와사끼병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