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급성심장정지 환자 건수는 2만9832명으로 10년 전보다 50% 이상 증가했다. 2006년 1만9480건, 2010년 2만5909건, 2015년 3만771건으로 증가하다가 지난해 2만9832건으로 소폭 감소한 것이 그나마 다행이다.

▲ 2006-2016년 급성심장정지 뇌기능회복율 격차 추이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와 소방청(청장 조종묵)은 119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사례 전수의 의무기록을 조사해 그 결과를 26일 13시에 공동으로 발표한다.

이에 따르면 심장정지 발생률(인구 10만명당)은 2006년 39.8명, 2010년 51.9명, 2015년 60.4명, 2016년 58.4명이다.

남자의 비율은 64-65% 이상으로 여자보다 2배가량 많이 발생했고, 최근 3년간 70세 이상이 전체 발생의 약 50%를 차지했다.

또 가장 발생률이 낮은 지역대비 가장 높은 지역의 발생률은 지난 10년간 2배 이상 높게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급성심장정지가 발생하는 주원인은 ‘질병’에 의한 것으로, 전체 발생의 70% 이상이었으며, 이중에는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부전으로 인한 것이 90%이상을 차지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는 가정이며, 전체의 약 50-60%를 차지했다. 그 외에는 도로‧고속도로 8-10%, 요양기관 5-7%, 구급차 안 4-6% 순이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2016년 생존율은 7.6%로 2006년 대비 3배 증가, 전년대비 1.2배 증가했다.

뇌기능 회복률은 2016년 4.2%로 2006년 대비 7배, 전년대비 1.2배 증가했다.

환자가 쓰러지는 것을 목격하거나 쓰러진 환자를 발견한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최근 5년 평균 생존율이 2배 이상 증가했고, 뇌기능 회복률은 3배 이상 증가했다.

   
▲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추이 및 격차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8년 전에 비해 약 9배 증가했고, 매년 증가 추세이나, 지역간 시행률 차이는 커지고 있다.

생존율의 지역간 차이(최대값-최소값)는 2010년 이후 7%p 이상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뇌기능 회복률의 지역간 차이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지난 10년간 생존율의 지역간 차이는 약 2배 증가(4.2%p→7.6%p)했고, 뇌기능 회복률은 약 4.6배 증가(1.6%p→7.3%p)했다.

지난해 생존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11.9%), 서울(11.4%), 울산(10.9%)이며, 생존율이 낮은 지역은 경북(4.3%), 전남(4.7%), 전북(5.1%), 충북(5.3%)으로, 지역간 차이는 7.6%p 이었다.

또한 뇌기능 회복률이 높은 지역은 세종(9.3%), 울산(6.2%), 서울(6.0%)이며, 뇌기능 회복률이 낮은 지역은 전남(2.0%), 강원(2.5%), 경북(2.7%), 충남(2.9%)으로, 지역간 차이는 7.3%p 이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과 조종묵 소방청장은 “환자를 발견했을 때 신속히 119에 신고하고, 일반인 심폐소생술을 늘리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고, 심폐소생술에 대한 대국민 홍보 및 전파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질병관리본부는 26일 ‘제6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개최, 그간의 급성심장정지조사 현황 및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지역사회의 심폐소생술 및 심장정지 생존율 변화를 짚어보며 지역간 격차 해소를 위한 논의를 한다.

한편 ‘2006-2016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집은 10월31일 발간 예정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