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석준 의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확대하겠다는 정부의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에도 불구하고 병원들의 참여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 송석준 의원(자유한국당)은 14일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자료를 토대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도입을 촉진하기 위해 2015년부터 매년 50억원의 예산을 참여 병원들의 시설개선비로 지원해 올해 1000개소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실제 참여하고 있는 의료기관은 7월말 현재 353개소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간병인과 환자가족이 병실에서 머무는 한국적 병간호 문화의 문제점이 2015년 메르스 대란의 원인으로 지목받으면서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한 사업.

송 의원에 따르면 정부는 2015년부터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에 병상당 100만원, 공공병원은 기관당 최대 1억원, 민간병원은 5000만원 이내로 시설개선비를 국가예산으로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2년 동안 100억을 투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관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참여율은 저조하다. 당초 작년은 400개소, 올해는 1000개소, 내년은 전체 병원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작년에 300개소, 올해 353개소에 그치고 있어 내년 전체 병원 도입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 9일 정부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을 발표하면서 현재 2만 3000병상에서 실시 중인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2022년까지 10만 병상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도 달성하기 어렵다는 것이 송 의원의 전망이다.

공공의료기관의 경우에도 의료법에 따라 의무적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해야 하지만 참여대상인 공공의료기관 88개(정신병원, 군병 등 제외) 중 제도를 도입한 기관은 64개소다. 보건복지부 소속 기관인 국립재활원, 국립목포병원, 국립마산병원조차도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도입하지 않고 있다.

미참여 기관들은 정부가 시설개선비를 지원한다고 하지만 간호간병서비스 제공을 위한 예산과 간호인력 부족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밝히고 있는 상황.

송석준 의원은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강화하는 것은 큰 틀에서는 타당한 일이지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력확보와 일선 병원의 상황 등을 고려하지 않아 발표를 하고있다”면서 “정부는 선심성·인기 영합적 복지 포퓰리즘 대책만 내놓는데 골몰하지 말고 현실성 있는 실현가능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