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미혁 의원

권미혁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공공제약사 설립을 적극 검토할 것을 주장하고 나섰다. 특히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18일 인사청문회에서 국가필수의약품의 안정적 생산·공급 필요성에 동의하고 현재 진행중인 공공제약사 관련 연구용역이 끝나면 수행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권 의원에 따르면 수익성을 이유로 공급이 중단된 의약품은 2010년부터 2017년 7월 현재까지 모두 248건이다.

공급 중단된 약품들은 희귀질환 등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는 꼭 필요한 ‘필수의약품’이 많다.

일례로, 칼륨 부족으로 근육이 마비되는 희귀성 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케이콘틴이란 약을 매일 복용해야 하고, 약을 복용하지 못하면 근육마비, 심할 경우 심장부정맥으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그런데 케이콘틴은 수익성이 낮다는 이유로 2009년, 2014년, 2016년 세 차례나 판매가 중단돼 당시 환자들이 큰 고통을 겪었다.

정부는 이같은 의약품 공급 중단 사태를 막기 위해 ‘퇴장방지의약품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약값의 10%를 얹어주는 방식이어서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또 퇴장방지의약품이라도 제약사가 생산을 중단하면 달리 제재할 수단이 없어 제도의 실효성이 낮다.

권미혁 의원은 “이같은 문제 때문에 식약처가 지난해 예산 6억 원을 확보해 필수의약품을 위탁생산하려 했으나, 제약사측에서 수익성 문제로 난색을 표명해 간신히 결핵치료제 위탁생산에만 2억9000만원을 쓰고, 3억1000만원은 불용처리 됐다”고 지적했다.

권 의원은 “필수의약품의 안정적 공급과 메르스와 같은 신종감염병에 따른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공공제약사 설립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공공제약이 가능한 생산 인프라는 △대구 임상신약생산센터 △오송 임상신약센터 △송도 생물산업기술실용화센터 △녹십자 화순공장 등이 있다. 또 질병관리본부는 충북 오송에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설립을, 산자부는 경북 안동과 전남 화순에 백신 글로벌 산업화 기반구축사업을, 농림축산식품부는 인수공통감염병 백신 생산시설 구축(후보지 경북 김천) 사업을 각각 추진하고 있다.

부처간 칸막이 문제 등으로 인해 위의 생산 인프라가 비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데, 이를 보완해 효율적으로 운영하면 공공제약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게 권 의원의 설명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