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성일 국장

제약‧바이오‧의료기기 같은 보건산업은 우리나라 미래 먹거리며, 일자리 창출의 보고다.

보건산업은 이미 오래전부터 성장 가능성을 주목해왔지만 최근들어 기지개를 펴는 모습이다. 특히 새정부들어 대통령 직속 민관합동 ‘4차산업혁명위원회’ 설치를 공식화하는 등 적극적인 육성 의지를 보여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보건복지부 양성일 보건산업정책국장은 5일 복지부 전문기자협의회와 만나 “4차 산업혁명은 과학기술(R&D), 산업생태계(창업 등) 뿐만 아니라 교육・고용・복지 등 경제・사회정책을 포괄하는 대응이 필요하다”며,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설치할 경우 기존 산업과 다른 특징을 갖고 있는 ‘제약·바이오·의료기기’를 하나의 분과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보건복지부의 입장을 전했다.

이 분야는 자동차, 반도체 등 성숙기인 전통산업에 비해 성장 가능성이 크고, 고부가가치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미래형 산업이라는 것. 실제 전 세계 보건산업 규모는 2012년 이미 8000조원 정도로, ICT 3800조원과 자동차 1800조원을 합한 것 보다 크다. 무엇보다 지난해 전 산업 수출액이 감소하는 가운데서도 제약·바이오·의료기기산업은 19% 증가한 102억 달러를 보였고, 일자리도 79만명으로 2012년 대비 13만명이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양 국장은 “우리나라는 우수 인재의 흐름에 따라 주력산업이 키워졌고 1990년대 이후 의·약학 분야에 인재가 집중되어 잘 할 수 있는 역량도 구비돼 있다”며, “보건의료 R&D 기반 강화, 임상시험, 사업화, 건강보험 적용 및 규제 개선 등 보건산업 전체 주기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체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덧붙여 이 산업들은 환자의 질병 고통을 덜고, 장애인과 노인의 재활·돌봄을 지원하면서 국민 건강을 증진시켜 복지 강국 대한민국 실현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확신했다.

또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 개발, 빅데이터 분석으로 맞춤형 의료 실현, ICT와 로봇기술의 융합은 치매환자 돌봄 부담도 경감할 것이라는 게 복지부의 판단이라고 강조했다.

양 국장은 “4차 산업혁명 위원회 산하에 설치되는 것이라는 것 외에 구체적인 형태는 논의가 더 필요할 것”이지만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육성에 대한 이견은 없을 것이기에 부처간 협의를 통해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산업을 성장-고용-복지의 골든 트라이앵글 핵심 축으로 육성시켜야 한다는 것이 보건복지부의 방침인 셈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