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려지는 보행속도가 치매 등 노화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안산병원 수면장애센터 신철 교수팀은 최근 한국인유전체조사사업 중 안산코호트에 참여하고 있는 2,222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4m 보행과 노인 인지기능 평가를 수행한 결과, 평균 0.83m/s 정도로 느리게 걷는 군이 평균 1.02m/s 이상 보통 속도로 걷는 군에 비해 노인 인지기능 평가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4m 보행검사는 시작 지점을 설정한 뒤 일직선으로 4m 떨어진 지점에 도착 지점을 정하고 평소 걷는 속도로 시작 지점에서 도착 지점에 닿을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건강상으로 문제가 없는 65세 이상 노인의 보행 속도는 1m/s 정도이다.

느린 보행속도가 인지기능 저하와 연관성을 보이는 이번 연구 결과는 수면 무호흡 증상을 가진 환자에서 더 분명한 차이를 보여 느리게 걷는 수면 무호흡 환자의 인지 기능 저하가 더 빠르게 나타났다.

이는 과거 치매 환자가 경도인지장애(MCI) 노인 및 건강한 노인보다 보행속도가 느리다는 스위스 바젤대학병원운동센터 연구를 비롯하여 보행 속도가 느려지고 보폭이 짧아지는 것이 기억력 등 인지기능 저하와 연관이 있다는 미국 메이요클리닉 노화연구소에서 수행한 연구 등 다수의 국외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신철 교수는 “걷는 것은 우리 몸의 에너지, 운동 조절, 심장이나 폐, 혈류, 신경이나 근육을 포함하는 다수의 장기 및 근골격계의 복합적인 건강 상태가 뒷받침 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행 속도가 느리다는 것은 이러한 기능의 손상과 보행에 사용되는 에너지 효율이 낮다는 것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성인에서의 보행 속도 감소는 노화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여겨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수면 무호흡 환자의 경우 운동 조절 기능과 연관되어 있는 전두엽 피질 하부 기능 저하로 인한 인지기능의 감소와 강한 연관성을 보인다는 과거 연구 결과를 근거로 이번 연구 결과가 노화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뿐 만 아니라 수면 무호흡 자체가 인지기능 저하와 연관되어 있음 또한 알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노인의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Age and Ageing’ 2017년 1월호에 게재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