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활동량 측정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 건강관리를 돕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가운데 금전적 인센티브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결합한 건강관리가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조비룡, 신동욱 교수팀은 보건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스마트케어에 금전적 인센티브를 적용’ 하는 것의 효과를 연구했다. 연구팀은 비만인 한국 남자 대학생 105명을 35명씩 세 그룹으로 나눈 후 ‘체중감량과 활동량 증가’를 살펴봤다.

A군에는 상담과 자료를 이용한 일반적인 교육을, B군은 A군의 교육과 함께 활동량 측정계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피드백을 추가했다. C군은 B군의 서비스에 금전적 인센티브를 함께 지급했다.

인센티브는 체중 기준으로 개별 설정된 하루 활동량을 달성하면 하루 1천원을 / 1달(3%) 2달(5%) 3달(7%) 체중감량 기준을 충족하면 각각 5만원씩을 지급했다.

시행 후 3달 후 A군은 평균 0.4kg, B군은 1.1kg, C군은 3.1kg를 각각 감량했다. 하루 활동량은 A군과 B군이 평균 76kcal와 43.5kcal가 증가했으나 C군은 535kcal가 늘어나 큰 차이를 보였다. C군은 근육은 유지하면서 지방이 감소해 허리둘레 · 혈압 · 중성지방 · HDL콜레스테롤 · ALT(지방간 지표) 등도 유의하게 개선됐다. 또 B군에 비해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비율도 높았다.

신동욱 교수는 “최근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스마트케어가 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실제 이런 방법으로 건강관리를 지속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 연구는 금전적 인센티브를 활용해 스마트케어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증명했다”며 “향후 보다 대규모의 장기적 연구를 통해 이런 효과를 지속하는 방안 등을 추가로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비룡 교수는 “미국에서는 보험회사에서 활동량계를 지급해, 가입자의 건강증진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의료비를 절감하려는 시도가 있다”며 “우리나라는 미국과 의료제도가 다르지만, 건강보험체계 내에서 스스로 건강관리를 잘하는 환자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보건산업진흥원의 연구지원과 휘트닷라이프로(활동량 측정 분야 벤처기업)의 활동량 측정계 지원으로 이뤄졌으며, 국제 비만학회 학술지인 ‘비만(Obesity)’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