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원하는 것은 이뤄질 수도 있다"

가톨릭의대 오일환교수는 5일 오후 가톨릭의과학연구원에서는 "성체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설명회"를 통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배아줄기세포 연구와 관련 유명 생명연구원의 금언을 전하며 우리가 걱정하고 있는 인간복제가 가능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이날 설명회에서 우리나라 성체줄기세포연구에서 최고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오 교수는 "성체줄기세포와 미래의학"이라는 강의를 통해 "여러 가지 윤리문제를 안고 있는 배아줄기세포보다는 성체줄기세포 연구가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오일환교수는 배아줄기세포는 &윤리문제를 피해 갈 수 없고 &몸에 이식했을 때 기형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으며 &난자 조달의 어려움이 크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료 결과마저 밝지 못하다며 미래 연구방향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반면 성체줄기세포는 &윤리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이식으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고 &채취가 간단하고 &이미 임상적으로 성과를 보이고 있다며 성체줄기세포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오일환교수는 먼저 줄기세포는 영어 Stem Cell의 번역인데 이는 Mother Cell이라는 뜻이라며 줄기세포라는 잘못된 이름으로 오해하는 사람이 많다며 이에 대한 이해가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성체줄기세포와 배아줄기세포의 차이에 대해 설명했다. 다음은 오일환교수의 설명내용을 요약했다.

성체줄기세포는 골수, 신경, 피부, 지방, 근육 등 우리 몸 곳곳에 있는 조직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탯줄에서 얻어지는 제대혈에서도 얻을 수 있으며 배아줄기세포는 난자에 체세포 핵 치환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배아에서 추출하는 것이다.

줄기세포의 논란에는 몇 가지 잘못된 정보가 일반인들에게 팽배해 있다며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잘못된 정보의 핵심은 &배아는 세포 덩어리다 &난자에 핵을 치환한 것은 수정란이 아니다 &성체줄기세포는 분화능력이 제한돼 있다 &성체줄기세포는 분리가 어렵다 등 4가지다.

현재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더욱 힘들게 하는 것은 바로 난자 수급의 문제라는 것이다. 국제 기준에서는 배아줄기세포가 추출될 가능성은 2000분의 1에서 500분의 1정도라는 것. 이 기준에 의하면 하나의 배아줄기세포를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500개 이상의 난자를 이용해야 한다. 이렇게 많은 난자를 구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현재 1000여명이 난자 기증을 약속했지만 채집 과정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들은 후에도 동의를 얻어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며 헌혈하는 정도로 생각하면 안 된다.

난자 추출을 위해서는 배란촉진 호르몬을 과다투입함으로써 심할 경우 불임에 이를 수 있으며 배에 복수가 차서 호흡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또 초음파 화면을 보면서 배란되는 난자를 쫓아 기다란 바늘을 난소에 찔러 채집해야 하므로 난소는 벌집이 된다.

세계적으로 인간 복제가 어려운 것은 바로 이 난자를 얻기 어렵다는 것이 가장 큰 장애이며 안타깝게도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경쟁력은 난자를 얻기 쉽다는 것이다.

난자를 쉽게 구해 세계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로 우리들의 비전이냐면서도 구미 학자들이 세계줄기세포 허브를 우리나라에 세우게 한 것은 바로 우리나라가 난자 제공 역할을 맡으라는 의미다.

역사적으로 여성들을 지켜내지 못한 우리 남성들이 다시 우리나라를 국제 난자 공급처로 삼으려는 것이냐면서 배아줄기세포의 위험성과 반해서 성체줄기세포가 이미 이뤄내고 있는 성과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세계적인 줄기세포 은행 네트워크를 이용한다면 자신의 조직적합성에 맞는 줄기세포를 얼마든지 구할 수 있으며 이미 임상 치료 성과가 보고되고 있는 것도 "척수마비" "뇌졸중" "심근경색" "뼈 재생" "재생불량성 빈혈" "악성 종양" "간질환" "무혈성 대퇴골두 괴사증" 등 무수히 많다.

오일환 교수는 "지금 전국이 온통 황비어천가를 부르고 있는 이 상황은 성체줄기세포와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올바른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만들어진 것"이라며 먼저 진실에 대한 접근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