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이지은, 박진호, 권형민 교수

당뇨병과 같은 대사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진 인슐린저항성이 ‘증상 없는 뇌경색’의 위험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이지은 ․ 박진호, 서울시보라매병원 신경과 권형민 교수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미국뇌졸중협회 공식학회지인 ‘뇌졸중 (Stroke) 誌’ 최신호에 게재했다.

뇌경색은 뇌에 분포하는 혈관의 일부가 막혀, 뇌기능의 장애가 생기는 질환으로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신체마비, 언어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아주 작은 혈관에 발생해 겉으로는 어떤 증상도 나타나지 않는 경우를 ‘무증상 뇌경색’이라고 한다. 무증상 뇌경색은 대부분 뇌의 소혈관이 막혀 생기는 ‘열공성 뇌경색’이라는 점이 특징으로 환자는 당장은 증상이 없어 건강해보이지만 향후 뇌졸중, 치매 등이 갑작스레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연구팀은 서울대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2,326명의 뇌 MRI와 혈액검사 결과 등을 활용해 인슐린저항성과 열공성 뇌경색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인슐린저항성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에 비해 열공성 뇌경색이 나타날 확률이 69%, 열공성 뇌경색 병변(뇌경색으로 변성된 뇌 조직)의 개수가 2개 이상 다수로 발견될 확률이 76% 높았다.

인슐린저항성은 혈당을 낮추는 호르몬인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진 상태로 주로 복부 비만이 있는 성인에게 나타나며 당뇨병과 같은 대사증후군의 주요 원인으로 이번 연구는 인슐린저항성이 무증상 뇌경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을 처음으로 밝혔다.

권형민 교수는 “현재까지 고혈압과 당뇨병이 열공성 뇌경색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이번 연구 결과 인슐린저항성 자체가 뇌의 소혈관에 동맥경화를 일으켜, 열공성 뇌경색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진호 교수는 “인슐린저항성은 복부비만, 과도한 음주, 흡연, 운동부족 등의 건강하지 않은 생활습관으로 인해 발생한다. 즉 올바른 생활습관을 통해 인슐린저항성을 개선하면, 열공성 뇌경색 환자들도 뇌경색과 이로 인한 인지기능의 저하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