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환자가 정상인에 비해 자살생각 및 자살 시도 위험성이 2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왓다.

고려대 구로병원 뇌신경센터 김지현 교수팀이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자인 228,735명의 설문조사 기록을 뇌졸중 환자(4,560명)와 정상인(224,175명)의 자살생각 및 자살 시도 위험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뇌졸중 환자의 자살시도율이 일반인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이 자살위험성을 높이는 것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은 기존에도 국내외 여러 연구를 통해 알려져 있었지만 국내에서 23만여 명에 이르는 대단위 인구를 대상으로 뇌졸중과 자살위험성에 대해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분석결과 일반인의 5.7%(12,802명)가 평소 우울감을 느끼는 반면 뇌졸중 환자는 이보다 2배 이상 많은 12.6%(572명)가 우울감을 갖고 있었다. 또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은 일반인이 9.8%(22,063명)인데 뇌졸중 환자는 24.4%(1,113명)로 약 2.5배 높았으며 실제로 자살을 행동에 옮기는 자살시도는 뇌졸중 환자가 1.3%(58명)로 일반인의 0.4%(935명)과 비교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고대 구로병원 뇌신경센터 김지현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자발적인 응답이 가능한 상대적으로 경증의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집계된 자료를 분석한 것인 만큼, 실제 비율은 더 높을 수 있다”면서 “의료진 및 가족이 뇌졸중 환자에 대한 자살경향성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하며 자살방지를 위한 프로그램이 마련되고, 주변에서도 심리사회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뇌졸중이 사회경제적 지위, 소득정도, 정신건강상태 등 다른 자살경향성 상승 요인을 배제하더라도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독립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김 교수는 “국내 뇌졸중 환자 발생 수는 노인인구 증가의 영향으로 2030년에는 인구 10만 명당 600여 명 가량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며 “뇌졸중은 본인은 물론 가족에게도 큰 후유증을 남기는 질환인 만큼 지속적인 사회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 논문은 올해 7월 journal of neurology에 게재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