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상철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은 비급여 진료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한 보장률을 높이는데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적정수가 도출과 합의를 위해 의료공급자와 함께 연구를 수행할 준비가 되어있다며, 공단에서 수행중인 ‘병원 원가분석 사업’에 함께할 것을 의료계에 제안했다.

성상철 이사장은 지난 23일 보건전문지 기자단담회에서 8월말 현재 당기흑자가 3조2,000억원, 누적흑자는 20조1,700억원에 달한다며, 정부지원금의 70% 수령 등으로 흑자폭이 늘었지만, 하반기에는 임플란트, 3대 비급여 개선등 신규 보장성 확대가 본격적으로 시행되어 2016년도 말 누적흑자는 19조8,000억여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보장성 강화정책으로 현재 암 등 4대 중증질환에 대한 보장률은 거의 80%에 근접하는 것으로 공단은 파악하고 있으며, 건강보험 조기정착을 위해 ‘저부담 저급여’ 체제를 유지한 탓에 2014년 우리나라의 보장률은 63.2%로 OECD 평균 80%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낮은 보장률은 국민들의 의료비 부담을 가중시키고 실손의료보험 등 민간보험에 의존하게 해서 건강보험료에 비해 세배이상 과도한 민간의료보험료를 지출해야 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며, 건강보험의 보장률을 높여 의료비 부담을 감소시키고, 민간의료보험의 의존도를 낮춘다면 그 혜택은 모두 국민에게 돌아갈 것 이라고 말했다.

성 이사장은 지속적인 보장성강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은 여전히 의료비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는 주된 이유가 바로 비급여 진료라고 강조했다. 비급여 본인부담률은 2009년 13.7%에서 2013년 18%로 급격히 증가된 바 있으며, 의료계는 원가에 못 미치는 저수가로 인해 비급여 진료로 경영수지를 맞출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 주장하지만, 비급여 진료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한 보장률을 높이는데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비급여 진료를 줄이기 위해서는 의료계와 ‘적정수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진다면 ‘적정 부담 - 적정 급여’의 수준이 자연스럽게 도출될 것 이라고 밝혔다.

성 이사장은 적정수가의 도출과 합의를 위해서 공단은 의료공급자들과 함께 허심탄회한 연구를 수행할 준비가 되어있다며, 공단에서 수행 중인 ‘병원 원가분석 사업’ 등에 함께 한다면 보다 근거 있고 설득력 있는 정책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밝혔다.

또 당장의 재정흑자가 정부지원 축소의 근거가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공단과 정부의 재정전망에 따르면 2019년부터 당기적자가 시작되고, 2025년 현 추세대로 나간다면 재정고갈이 예측되고 있는데 건강보험에 대한 국가지원은 2017년까지 한시적으로 되어있다며, 건강보험에 대한 정부지원이 축소되거나 없어진다면 국민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성상철 이사장은  정부지원이 없었다면, 2007∼2015년간 누적적자는 29조8천억원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산된다며, 하루빨리 한시규정을 삭제하고 명확한 지원기준 등을 법률에 담아야 하며, 아울러 현행 50%의 법적 준비금은 현실적이지 않은 점을 감안, 현재 적정 준비금에 대한 개선안을 정부와 함께 협의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